네트워크) VLAN을 활용한 서버 통신
1️⃣ 문제 설명
[네트워크 구성 및 최적화 과제]
솔라 주식회사는 내부 네트워크로 10.0.0.0/8 대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아래 요구사항에 따라 VLSM(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)를 활용하여 최적의 서브넷 구성을 설계하고, 네트워크를 설정 및 테스트하세요.
✅ 요구사항
- VLAN 구성
- 개발팀 (VLAN 10): 6,000 Host
- 운영팀 (VLAN 20): 2,000 Host
- 회계팀 (VLAN 30): 300 Host
- 디자인팀 (VLAN 40): 50 Host
- 고객지원팀 (VLAN 50): 1,000 Host
- 아래와 같이 각 부서에 필요한 호스트 수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세요.
- 외부 네트워크 연결
- 모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해야 합니다.
- 외부 네트워크는 198.51.100.0/30 대역을 사용하며, 외부 라우터와 연결하세요.
- DHCP 및 NAT 구성
- 디자인팀 (VLAN 40)은 R1 라우터로부터 DHCP를 통해 IP를 자동 할당받아야 합니다.
-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은 NAT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.
- 웹서버 및 포트 포워딩
- 회계팀에 웹서버가 1대 존재하며, R1 라우터의 외부 1000번 포트로 접근하면 회계팀 웹서버의 80번 포트로 연결되어야 합니다.
- 테스트 장비 추가
- 자유롭게 IP를 설정한 테스트 PC 1대를 추가하고, 각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확인하세요.
- 스위치 구성
- 3650-48 스위치는 충분한 포트를 지원하므로 1대의 스위치로 VLAN을 구성합니다.
2️⃣ 서브네팅
📍 Tip) 규모와 Prefix 관계
✅ 규모가 줄면 → Prefix 늘어남
규모(호스트 수)가 늘면, Prefix(고정)가 줄어들어야함
✅ 규모가 늘어나면 → Prefix 줄어듬
규모(호스트 수)가 줄어들면, Prefix(고정)가 늘어나야함
✏️ 10.0.0.0 /8(2^24) 서브네팅
팀 이름 | 호스트 수 | 규모 | Prefix | 범위 | 서브넷 마스크 |
개발팀 (VLAN 10) |
6,000 | 2^13 | /19 | 10.0.000|00000.00000000 ~ 10.0.000|11111.11111111 10.0.0.0 /19 ~ 10.0.31.255 /19 |
255.255.224.0 |
운영팀 (VLAN 20) |
2,000 | 2^11 | /21 | 10.0.00100|000.00000000 ~ 10.0.00100|111.11111111 10.0.32.0 /21 ~ 10.0.39.255 /21 |
255.255.248.0 |
고객지원팀 (VLAN 50) |
1,000 | 2^10 | /22 | 10.0.0010 10|00.00000000 ~ 10.0.0010 10|11.11111111 10.0.40.0 /22 ~10.0.43.255 /22 |
255.255.252.0 |
회계팀 (VLAN 30) |
300 | 2^9 | /23 | 10.0.0010 110|0. 0000 0000 ~ 10.0.0010 110|1. 1111 1111 10.0.44.0 /23 ~ 10.0.45.255 /23 |
255.255.254.0 |
디자인팀 (VLAN 40) |
50 | 2^6 | / 26 | 10.0.0010 1110. 00|00 0000 ~ 10.0.0010 1110. 00|11 1111 10.0.46.0 /26 ~ 10.0.46.63 /26 |
255.255.255.192 |
📍 Tip) 2진수 → 10진수
1000 0000 → 128
1100 0000 → 192
1110 0000 → 224
1111 0000 → 240
1111 1000 → 248
1111 1100 → 252
1111 1110 → 254
1111 1111 → 255
0000 0001 → 1
0000 0011 → 3
0000 0111 → 7
0000 1111 → 15
0001 1111 → 31
0011 1111 → 63
0111 1111 → 127
1111 1111 → 255
3️⃣ IP 설정
1 . A 개발팀 PC

2 . B 운영팀 PC

3 . C 고객지원팀 PC

4 . D 회계팀 Server

5. E 디자인팀 PC

4️⃣ VLAN 설정
✅ 스위치 설정
1. VLAN 생성
Switch(config)#vlan 10
Switch(config-vlan)#exit
Switch(config)#vlan 20
Switch(config-vlan)#exit
Switch(config)#vlan 30
Switch(config-vlan)#exit
Switch(config)#vlan 40
Switch(config-vlan)#exit
Switch(config)#vlan 50
Switch(config-vlan)#exit
2. VLAN 포트 설정
- A
Switch(config-if)#swi m a
Switch(config-if)#swi a vlan 10
Switch(config)#int f0/2
- B
Switch(config-if)#int f0/3
Switch(config-if)#swi m a
Switch(config-if)#swi a vlan 20 - C
Switch(config-if)#int f0/4
Switch(config-if)#swi m a
Switch(config-if)#swi a vlan 30 - D
Switch(config-if)#int f0/5
Switch(config-if)#swi m a
Switch(config-if)#swi a vlan 40 - E
Switch(config-if)#int f0/6
Switch(config-if)#swi m a
Switch(config-if)#swi a vlan 50
⚠️ f0/1 → trunk 모드 설정!!!!
- 라우터 연결된 f0/1
- Switch(config)#int f0/1 Switch(config-if)#swi m t
3. 확인
Switch(config-if)#do sh vlan br

✅ 라우터 설정
Router(config)#int f0/0
Router(config-if)#no shut
- f0/0.10
Router(config)#int f0/0.10
Router(config-subif)#encapsulation dot1Q 10
Router(config-subif)#ip add 10.0.0.20 255.255.224.0
Router(config-subif)#no shut
- f0/0.20
Router(config-subif)#int f0/0.20
Router(config-subif)#encapsulation dot1Q 20
Router(config-subif)#ip add 10.0.32.20 255.255.248.0
Router(config-subif)#no shut
- f0/0.30
Router(config-subif)#int f0/0.30
Router(config-subif)#encapsulation dot1Q 30
Router(config-subif)#ip add 10.0.40.20 255.255.252.0
Router(config-subif)#no shut
- f0/0.40
Router(config-subif)#int f0/0.40
Router(config-subif)#encapsulation dot1Q 40
Router(config-subif)#ip add 10.0.44.20 255.255.254.0
Router(config-subif)#no shut
- f0/0.50
Router(config-subif)#int f0/0.50
Router(config-subif)#encapsulation dot1Q 50
Router(config-subif)#ip add 10.0.46.20 255.255.255.192
Router(config-subif)#no shut
- 확인
Router(config-subif)#do sh run

5️⃣ DHCP 설정
- R1 설정
Router(config-subif)#ip dhcp pool 1
Router(dhcp-config)#network 10.0.46.0 255.255.255.192 → IP 할당할 네트워크 대역
Router(dhcp-config)#default-router 10.0.46.20 → GW
Router(config)#ip dhcp excluded-address 10.0.46.20 → 제거할 IP 주소
⚠️ 라우터와 통신 문제 발생
❌ 문제 발생
1. PC 4가 DHCP 방식의 IP 할당을 받지 못함
2. 모든 PC 들이 라우터와 통신이 안됨
ping: PC1 → R1(f0/0/10)
📍 원인
스위치의 f0/1 의 trunk 모드 설정을 안함
✅ 문제 해결
Switch(config)#int f0/1
Switch(config-if)#swi m t
☑️ do sh run 결과
☑️ DHCP IP 할당 완료
☑️ 라우터와 통신 가능
6️⃣ NAT 설정
✅ PAT 설정
- R2
Router(config)#access-list 1 permit 10.0.0.0 0.0.0.3
Router(config)#int f0/1
Router(config-if)#ip nat inside
Router(config-if)#int f0/0
Router(config-if)#ip nat outside
Router(config-if)#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 f0/0 over
✅ DNAT 설정
Router(config)#int f0/0.40
Router(config-if)#ip nat inside
Router(config-if)#int f0/1
Router(config-if)#ip nat outside
Router(config-if)#ip nat inside source static tcp 10.0.44.10 80 10.0.0.2 100
⭐ 결과
웹 서버 접근 ⇒ R1의 f0/1로 접속해야함!!
- 호스트 → R1 f0/1 (100번 포트)
- R1 (100번포트)→ DNAT 설정(100→ 서버의 80으로 보내라)
- 서버의 80번 포트로 접속 가능

